어른들이 왜 어린 시절 인형처럼 옷을 입고 싶어 하는지 진짜 이해가 안 됐어요. 주름 장식이 달린 칼라와 레이스 트림은 내 스타일이 아니었거든요—첫 영성체 때처럼 그런 스타일을 소화할 수 있을 만큼 어렸을 때도 전혀 관심이 없었죠.

하지만 최근 들어 뭔가 달라졌어요. 지난 몇 달 동안, 평소 피하던 디테일들이 오히려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어요. 단, 새것처럼 완벽한 인형 같은 모습이 아니라, 중고샵에서 본 유리알처럼 맑고 불안한 눈빛을 한 인형들의 기묘한 매력에 끌리더군요. 옷은 누렇게 변했고 오래되어 해어져 있었죠. 영원히 완벽하게 보관되도록 만들어진 콜렉터블 인형보다 이런 낡은 스타일이 더 현실감 있게 느껴졌어요.

이런 매력에 빠진 건 나뿐만이 아니에요. 최근 ‘유령 인형 패션’이 도처에서 눈에 띄고 있죠. (몇 년 전 블루머 쇼츠 트렌드 기억나시나요?) 클로에(Chloé)의 2025년 봄 쇼에서는 케메나 카말리(Chemena Kamali)가 레이스 티어드 드레스와 푸근한 팬탈룬을 선보였고, 숀 맥거(Seàn McGirr)가 이끄는 맥퀸(McQueen)에서는 드라마틱한 칼라와 갈라진 옷자락이 등장했어요. 뉴욕에서는 조이 구스타비아 애나 휠란(Zoe Gustavia Anna Whelan)의 디컨스트럭티드 디자인이 비에 젖은 인형 같았고, 콜린 앨런(Colleen Allen)의 빅토리아풍 작품들은 오래된 섬세한 속옷을 연상시켰죠. 프리 피플(Free People) 같은 대형 리테일러도 합류해 레이스 장식 블루머를 트렌디하면서도 저렴한 옵션으로 내놓았어요.

궁극의 유령 인형 스타일 아이콘은 <위대한 유산>의 미스 해비셤일 거예요. 결혼식 당신 버림받은 그녀는 낡은 웨딩드레스를 입은 채로 썩어가는 삶을 살며, 잔치 상에는 먼지만 쌓이죠. 그런데도—그 모습은 무언가 강렬한 인상을 남겨요. 헬레나 본햄 카터(Helena Bonham Carter)가 2012년 영화에서 완벽하게 표현했죠. 웨딩드레스가 그녀를 삼켜버린 듯, 오간자 스커트와 축 처진 소매는 퇴색한 화려함의 잔해 같았어요.

옷은 많은 감정을 담고 있어요—우리가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는 방식을 형성하죠. 여성스럽지만 낡은 무언가를 입는 건 마음을 드러내는 것 같아요. 아름다움이 항상 완벽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걸 일깨워주니까요. 그래서 어렸을 땐 내 아메리칸 걸 인형처럼 입지 않았지만, 이제는 그들의 유령처럼 낡은 사촌들에게서 스타일 영감을 얻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