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의 영양학적, 문화적 중요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서양 문화에서는 일상적인 식사와 계절적 전통 모두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다. 달걀이 없는 아침 식사나 부활절을 상상해 보라.
달걀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새를 길들여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확보한 이래로 귀중히 여겨져 온 고대의 음식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은 영양을 넘어선다. 달걀은 깊은 상징성을 지닌다. 지난해 미국에서 달걀 가격 상승이 공론화되었던 점이나 정치사에서조차 달걀이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사례만 봐도 알 수 있다.
### 달걀의 상징성
달걀은 오랫동안 재생을 상징해 왔다. 다양한 문화에서 삶으로의 회복을 나타내며, 무덤에 새겨지기도 했다. 기독교 이전의 전통에서는 봄을 맞아 대지의 풍요를 기리는 의식에 달걀이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달걀을 장식했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을 상징한다. 현대 우주론에서조차 창조 신화에 달걀이 등장한다.
과학 또한 이 상징성을 뒷받침한다. 여성의 생식 세포가 ‘난자(egg)’로 불리는 것만 봐도 그렇다. 신화와 종교를 넘어, 달걀은 생명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구현하며 건강, 가정, 생식력, 나아가 번영을 상징한다.
### 달걀의 영양적 가치
달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저렴하고 접근하기 쉬운 단백질 공급원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많이 소비되지만, 달걀 소비량은 아시아가 가장 많다. World Population Review에 따르면 홍콩은 1인당 연평균 57파운드(약 25.8kg)의 달걀을 섭취한다.
달걀은 완전단백질로, 인체가 스스로 생산하지 못하는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은 20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그중 11가지는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지만 나머지 9가지는 반드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영양학자들은 달걀을 황금 같은 식품으로 칭한다. 저지방 고기나 생선보다 저렴하면서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완숙하면 휴대하기 쉬우며 조리도 간편하다. 달걀 하나는 약 70칼로리에 6그램 이상의 단백질을 제공하며, 포만감을 주는 건강한 지방도 함유하고 있다.
달걀에는 특히 임신과 어린 시절에 중요한 뇌 발달에 필수적인 콜린이 풍부하다. 또한 황반변성과 백내장을 예방해 눈 건강을 지원하는 항산화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도 들어 있다.
### 예술과 영화 속의 달걀
상상력과 식단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달걀은 예술가와 영화 제작자들에게 자주 영감을 준다. 달걀은 여성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낙태, 잃어버린 잠재력 또는 취약성에 대한 논의에서 그렇다. 달걀의 신비주의는 종종 탄생과 죽음이라는 주제와 연결되며, 이는 심오하면서도 불안한 이중성을 지닌다.
초현실주의자 살바도르 달리는 달걀의 견고함과 취약함의 균형에 매료되어, 이를 창의성과 내적·외적 세계 사이의 전환을 상징하는 표식으로 여겼다. 스페인 피게레스에 있는 그의 박물관 지붕에는 창의적인 정신을 나타내는 거대한 흰색 달걀 조형물이 장식되어 있다.
반면 앨프리드 히치콕은 달걀을 유명하게도 혐오했다. 그는 “나는 달걀이 두렵다. 두려움을 넘어 역겨울 정도다”라고 말했으며, 달걀을 전혀 먹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달걀이 숭배받든 혐오받든, 그것은 여전히 강력한 상징이자 영양의 보고로서 문화, 예술, 일상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구멍 하나 없는 매끄럽고 둥근 물체… 달걀 노른자가 터지며 노란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보다 더 역겨운 광경을 본 적이 있는가?”라는 그의 말은 히치콕이 1963년 영화 새에서 소재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는 단서가 될지도 모른다.
최근 영화에서도 달걀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올리비아 와일드의 2022년 영화 돈 워리 달링에서 주인공 앨리스(플로렌스 퓨)는 매일 아침 남편 잭(해리 스타일스)을 위해 같은 아침을 준비한다. 어느 날 그녀가 깬 달걀은 속이 비어 있었는데, 이는 그녀 삶의 공허함을 은유하는 강렬한 상징이다.
비슷하게, 가정 내 역할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정서적 취약성이라는 고정관념을 탐구한 2002년 영화 디 아워스에서는 클래리사(메릴 스트립)가 요리하는 장면이 여러 번 등장한다. 특히 달걀을 케이크 반죽에 넣은 직후 클래리사가 감정적 붕괴를 겪는 순간은 강렬하다. 모성과 가정에 대한 기대의 무게가 마침내 그녀의 차분한 표면을 깨뜨리며 내면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이다.